서울시 '서울역 북부역세권' 개발계획 확정… 도심·강북권 첫 MICE 시설
서울시 '서울역 북부역세권' 개발계획 확정… 도심·강북권 첫 MICE 시설
  • 남승모 기자
  • 승인 2021.03.29 07:00
  • 댓글 0
이 기사를 공유합니다

- 서울시-코레일-한화컨소시엄, 사전협상 마무리…13년 간 표류했던 사업 본궤도

- 방치됐던 유휴철도부지에 연면적 약 35만㎡, 최고 40층 높이, 5개동 복합단지

- 국제회의수준 도심.강북권 첫 MICE, 호텔, 판매.업무 시설, 700세대 오피스텔

- 공공기여로 보행로.공원 등 공공기반시설 확충…'22년 착공, '26년 준공 목표
뉴스신(사진제공=서울시)
뉴스신(사진제공=서울시)

【뉴스신】13년 여간 표류했던 ‘서울역 북부역세권’ 개발사업이 본궤도에 오른다. 서울로7017과 염천교수제화거리 사이 연면적 약 35만㎡가 대변화를 시작한다.

현재 자재,물류창고 등으로 일부만 사용되고 사실상 공터로 방치 중인 유휴철도부지에 오는 26년 최고 40층 높이, 5개동의 △전시△호텔△판매△업무△주거 복합단지가 들어선다. 특히 국제회의 수준의 전시장과 회의장을 갖춘 MICE(컨벤션) 시설이 도심,강북권 최초로 들어선다.

서울시는 토지소유자 코레일, 사업자 한화 컨소시엄과 약 10개월('20.4.~'21.2.)에 걸친 사전협상을 마무리하고, ‘서울역 북부역세권’ 개발계획안을 최종 확정했다고 밝혔다. 도시계획변경 및 건축인허가 등 본격적인 개발 절차에 착수한다.

‘사전협상제도’는 5천㎡ 이상 대규모 개발부지에 대해 공공과 민간사업자가 사전협상을 통해 구체적인 개발계획을 수립하고 도시계획을 변경하는 제도다.

개발계획은 용도지역 변경(제3종일반주거지역→일반상업지역), 용적률 체계(상한용적률 800%이하), 건축물 용도(MICE·업무·판매·숙박 등) 및 높이(120m, 완화시 150m), 기반시설 계획 등을 담고 있다.

서울시는 ‘서울역 북부역세권’ 사업을 통해 국가중앙역이자 유라시아 철도 시대 국제관문으로서의 서울역의 역할과 위상을 높이고, 이 일대 추진 중인 ‘서울역 일대 도지재생활성화사업’과도 연계해 노후된 지역을 재생해 활력을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.

먼저 도심,강북권에 최초로 들어서는 MICE(컨벤션) 시설은 연면적 24,403㎡ 이상 규모다. 2천명 이상 수용 가능한 대회의실 1개, 30인 이상 수용 가능한 중.소회의실 15개, 2천㎡ 규모의 전시실, 연회장 등을 갖춘 국제회의수준의 시설로 조성된다.

국제회의수준의 시설은 '국제회의산업 육성에 관한 법률'에 따라 △2천인 이상의 인원을 수용할 수 있는 대회의실 △30인 이상의 인원을 수용할 수 있는 중 △소회의실이 10실 이상 △2천㎡ 이상의 옥내전시면적을 확보하고 있는 시설을 말한다.

그동안 코엑스(COEX), 세텍(SETEC) 같은 컨벤션시설은 주로 강남지역에 편중돼 있었다는 점에서 지역 균형발전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된다.

MICE 시설과 함께 호텔, 판매,업무시설도 연면적 50% 이상 들어선다. 700세대의 오피스텔도 연면적 30% 이내로 조성된다.

시는 개발사업에서 나오는 공공기여 약 2,200억 원을 활용해 지역주민을 위한 공공·기반시설을 설치한다. 서울로7017과 북부역세권, 북부역세권과 서울역광장,서소문역사공원 등을 연결하는 보행로를 새롭게 만들어 지역단절을 해소한다. 또 도시재생지역 내 5,880㎡ 규모의 청파공원을 조성해 도시재생 시너지 효과를 낸다.

서울역 북부역세권 사업은 '08년부터 사업이 논의됐지만 당초 사업을 추진하기로 한 민간사업자가 사업성을 이유로 중도 포기하는 등 10년 넘게 표류 중이었다. 시는 지난 '18년 개발 물꼬를 트기 위해 개발방향 및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코레일에 제시했다. 작년 4월 코레일과 한화 측이 사전협상제안서를 서울시에 제출하면서 협상 논의가 재개했다. 서울시는 지난 '08년 코레일, 문화체육관광부와 함께 ‘서울역 북부역세권 기본구상안’에 대해 공동발표를 한 바 있다.

'16~'17년엔 가이드라인의 기초가 되는 서울역 일대 종합발전계획인 '서울역 일대 미래비전'을 수립했다. '서울역 일대 미래비전' 실현을 위해 공공기여의 약 50% 상당을 ‘서울역 지하통합역사 조성’과 ‘서울역 일반철도 지하화’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고 밝혔다.'18년에 제시한 가이드라인엔 용도지역 변경(제3종일반주거지역→일반상업지역), 용적률 체계(상한용적률 800%이하), 건축물 용도(MICE·업무·판매·숙박 등) 및 높이(120m, 완화시 150m), 기반시설 계획 등을 담고 있다.이후 관련부서 협의 및 전문가 자문 등 의견수렴을 거쳐 코레일·한화 측에서 제출('20.4.)한 사전협상제안서 계획안을 보완했다.

이번 ‘서울역 북부역세권’ 개발계획 최종안은 작년 4월부터 최종 의사결정기구인 ‘협상조정협의회’의 5차례에 걸친 논의 끝에 마련됐다. 공공-민간-외부전문가 10여명으로 구성된 협상조정협의회에선 도입용도·건축물 높이·공공기여 등 주요 쟁점사항을 논의했다. 공공성 확보를 우선으로 계획안을 결정했다.

‘협상조정협의회’는 사전협상 전반을 총괄하고 조정하는 협상기구다. 협상의제 선정, 공공-민간 간 이해 교환 및 중재, 사안에 대한 객관적 검토, 합의 가능한 대안 도출 등을 주관한다. 공공, 민간, 외부전문가 등 총 10여명으로 구성된다.

서울시는 확정된 개발계획에 따라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도시·건축공동위원회(도시관리계획 입안·결정) 심의 등을 거쳐 도시관리계획 변경 및 건축인허가가 절차가 마무리되면 이르면 '22년 착공, '26년 준공된다.

조남준 서울시 도시계획과장은 “지금은 서울역이 국가중앙역이자 미래의 국제관문으로서 그 위상에 걸맞는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다. 그 첫 시작이 북부역세권 개발이 될 것”이라며, “북부역세권이 주변 역사·문화와 어우러진 지역의 랜드마크로 탈바꿈하고,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”고 말했다.


댓글삭제
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.
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?
댓글 0
0 / 400
댓글쓰기
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·계정인증을 통해
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.